▶ “12t 무게 원통형 돌 밧줄로 둘러 끌어올려”

AP Photo/Karen Schwartz
남태평양 이스터(라파누이)섬의 모아이 석상 위에 모자처럼 올려져 있는 거대한 원통형 돌을 둘러싼 비밀이 풀렸다.
'푸카오(Pukao)'로 불리는 이 돌 모자는 붉은색 화산암을 깎아 만들었으며, 무게가 12t에 달하는 것도 있다. 고고학계에서는 이스터섬 원주민들이 이런 거대한 돌을 어떻게 운반해 높이 10m의 거대한 석상 위에 얹어 놓았는지 의문을 가져왔다.
7일(한국시간 기준) 외신에 따르면 빙햄턴 뉴욕주립대학 인류학 교수 칼 리포 연구팀은 3D 모델 등을 이용한 분석 끝에 학술지 '고고과학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최신호에 이에 관한 답을 내놓았다.
연구팀은 원주민들이 채석장에서 10여㎞ 이상 떨어진 모아이까지 푸카오를 굴려서 운반한 뒤 대형 램프와 밧줄을 이용한 방식으로 끌어올렸을 것으로 추정했다.
리포 교수는 "밧줄로 원통형의 푸카오를 두른 뒤 위에서 이를 잡아당겨 끌어올리는 방법을 사용했을 것"이라면서 "이는 램프 경사로로 푸카오를 굴려서 끌어올리는 데 필요한 노력을 최소화할 수 있는 단순하면서도 명쾌한 방법"이라고 지적했다.
이 작업을 하는 데는 10~15명 정도면 충분했을 것으로 연구팀은 분석했다. 이전에는 돌을 쌓거나 램프 경사로로 밀어 올리는 방식으로 푸카오를 얹었을 것으로 추정돼왔다.
원주민들이 모아이 석상을 만들기 위해 노동력과 자원을 이전에 생각돼온 것만큼 많이 투입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지적인 셈이다.
칠레 해안에서 3천700㎞ 가량 떨어진 외딴섬인 이스터섬은 1722년 네덜란드 탐험가 야코프 로헤벤 선장이 발견했을 당시 나무 한 그루 없는 황량한 벌판에 수백개의 모아이 석상만 있는 기괴한 모습이었다고 한다.
신격화된 조상의 얼굴을 담은 것으로 보이는 이 석상들은 모두 내륙을 향하고 있으며 섬을 보호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250~1500년 무렵에 집중적으로 제작됐으며, 총 887개 석상의 평균 크기는 4m에 달한다. 푸카오는 약 100여개의 모아이만 쓰고 있다.
원주민이 한때는 2만명에 달했지만 이 거대한 석상을 옳기는 데 사용하기 위해 숲을 마구 파괴하면서 생태계가 붕괴하고, 원주민 간 전쟁까지 이어지면서 인구는 1877년에 111명으로 줄며 사실상 문명까지 파괴됐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일각에서는 로헤벤 선장이 부활절에 이스터섬을 처음 발견한 뒤 유럽인을 통해 이전에는 없던 질병이 생기고, 원주민을 노예로 잡아가는 바람에 몰락하게 됐다는 반론도 있다.
연구팀은 "이스터섬은 원주민이 비이성적으로 행동하고 이런 행동들이 재앙적 생태계 붕괴로 이어진 곳으로 다뤄져 왔다"면서 "그러나 고고학적 증거들은 이런 인식이 크게 잘못돼 있으며, 원주민들이 섬에서 한 행동과 500년간 이 작은 외딴 섬에서 성공적으로 살아온 부분을 상당히 왜곡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4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ㅋㅋ...
내말이...ㅎㅎㅎㅎ
추정했다고 하면서 비밀이 풀렸다고 하는건 맞지 않네요
과학의 발전으로 이스터의 석상비밀이 풀어졌네요. 옛날에는 UFO를 타고온 외계인들의 작품이라는 그런 이야기도 있었는데 신화와 전설이 전부 과학으로 풀어지니재미는 없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