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가 다르게 새로운 피트니스법이 소개되고 운동 효과가 좋다고 소문난 피트니스 센터에 장사진을 이루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신체단련을 책임지는 피트니스 업계도 패션만큼이나 유행에 민감하기 때문이다. 건강정보 웹사이트 헬스닷컴이 약 2,800명의 피트니스 전문가들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해 올해 유행할 피트니스 트렌드를 소개했다.
◆웨어러블 장치
지난해 피트니스 업계를 강타한 웨어러블 장치가 올해 역시 피트니스 업계의 대세를 이루겠다. 주로 손목에 차는 형태의 장치로 운동량을 수량화해서 알려주는 장치다. 피트니스 전문가들 사이에서 올해 웨어러블 장치가 피트니스 업계의 넘버 원 트렌드로 꼽혔다. 웨어러블 장치는 일종의 ‘건강 도우미’로 비만, 당뇨 등 과체중과 관련된 질병자들이 주로 큰 효과를 보고 있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한 웨어러블 장치 제조 업체측에 따르면 사무실에서 앉아서 근무하는 사람들이 웨어러블 장치 착용 후 건강에 신경쓰게되는 경우가 많다. 웨어러블 장치가 24시간내내 걸음걸이 숫자, 심장 박동수, 계단 오른 횟수 등을 실시간으로 보여주며 사무실 근무자들의 운동량 부족을 경고한다. 차세대 웨어러블 장치로 최근 문신 트랙커까지 등장해 화제다.
◆체중이용 운동
군살을 빼고 근육을 키우는데 이제 거추장 스러운 도구는 필요없다. 최근 운동 좀 한다는 사라들 사이에서 ‘체중 이용 운동’(Body Weight Training)이 선풍적인 인기를 얻고 있다. TV에서 일부 연예인들이 애플 힙을 만든 비결로 바로 체중 이용 운동의 한동작을 집중적으로 반복했다고 할 정도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운동법이다. 기존의 웨이트 트레이닝이 크고 작은 바벨을 이용해야 했던 것과 달리 체중 이용 운동은 바로 자신의 몸이 바벨 역할을 한다.
장소과 시간만 허락하면 언제 어디서든지 몸짱 단련을 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최근 가장 대세인 체중 이용 운동 동작은 쪼그리고 앉았다 일어서는 것을 반복하는 스콱 운동법이다. 하체 단련에 효과적이고 덩달아 매력적인 엉덩이가 만들어진다. 기존의 윗몸 일으키기, 팔굽혀 펴기 등도 체중을 이용한 운동법이다.
◆간헐적 운동(HIIT)
이미 트레이너들 사이에서 잘 알려진 ‘히트’(HIIT: High Intensity Interval Training) 운동법이 올해는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대 히트할 조짐이다. 간헐적 운동법은 말 그대로 간헐적으로 실시하는 운동이지만 짧은 시간 동안 고강도 운동이 진행된다. 2012년 ‘저널 오브 오베시티’(Journal Of Obesity)에 따르면 일주일에 27분간, 3번씩 히트 운동을 하면 60분씩 일주일에 5차례 무산소, 유산소 운동을 동시에 병행한 것과 같은 효과를 선물한다.
농구 선수들이 농구 코트 한쪽끝에서 다른쪽 끝까지 전력질주로 왕복하는 것, 미식축구 선수들이 계단을 빠른 속도로 오르 내리는 것 등이 히트 운동법의 예다. 히트 운동법의 여러 장점 중에서도 가장 주목할만 한 것은 ‘후연소 작용’(After Burn Effect)이다. ‘운동 후 추가 산소 소비’(EPOC)이라고도 하는데 고강도 운동을 하면 운동이 끝난 뒤에도 지방 연소가 지속되는 효과다.
◆근력운동(Strength Training)
여성의 아름다움에 대한 기준이 완전히 바뀌었다. 갸날픈 몸매가 남성들의 눈을 사로잡는 시대는 이제 끝났다. 대신 근육으로 다져진 탄탄한 몸매의 여성이 아름다운 여성을 대변한 지 오래다. 남성들 사이에서는 이미 오래전부터 실시되 오던 근력 운동이 올해는 여성들 사이에서 큰 관심을 끌 전망이다. 근력운동은 근육의 힘을 강화하는 운동으로 지방을 연소하고 대신 근육량을 늘려주는 운동이다. 당뇨병, 심장병, 비만 등의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가 높은 운동법이다.
◆폼 롤링(Foam Rolling)
두꺼운 튜브 모양의 폼 롤러에 신체 부위를 대고 굴리면서 하는 운동이다. 폼 롤링은 뭉쳐진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고 코어 근육 운동에도 효과적이다. 피트니스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서 비록 16위를 차지했지만 빠르게 인기를 얻어가고 있는 운동이다. 올해 폼 롤링 운동을 통해 제법 폼나는 몸매를 가꾸려는 사람이 많아질 전망이다. 특히 오랜 근무로 근육이 긴장되고 수축되어 있을 때 실시하면 근육 이완을 통해 근육 불균형이 해소에 도움이 된다.
<
준 최 객원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