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의 저명한 언론인이자 작가인 사이먼 윈체스터는 1980년대에 한국을 방문, 울산의 조선소를 둘러본 후 충격을 받았다. 조선소 곳곳에서 수많은 배들이 동시에 빠른 속도로 건조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는 이때 받은 깊은 인상을 자신의 책 ‘한국: 기적의 땅을 걷다’(Korea: A Walk Through the Land of Miracles)에 상세히 기술했다. 웨체스터는 “2차 대전 후 영국 조선소들은 기껏해야 4~5척의 배를 동시에 만들 수 있었을 뿐인데 울산의 조선소는 동시에 46척의 배를 만들 수 있다”며 “그것도 유럽 조선소들의 절반 시간에 훨씬 저렴한 가격으로 말이다”라고 썼다.
웨체스터가 받은 이런 인상은 한국을 방문하거나 한국에서 살아본 외국인들 대부분이 한국에 대해 가장 먼저 떠올리는 이미지이다. 이른바 ‘빨리빨리’ 문화이다. 2006년 독일 월드컵 한국대표팀 감독을 맡았던 아드보카트는 “‘빨리빨리’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한국말”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빨리빨리’는 옥스포드 사전에 ‘ppalli ppalli’라는 단어로 등재됐을 정도다.
외국인들 사이에 화제가 되고 있는 한국의 ‘빨리빨리’ 10 장면에는 우리도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자판기 커피가 다 나오기도 전에 컵을 뺀다든가 엘리베이터 문이 닫히고 있는데 닫힘 버튼을 누르는 것, 채 익지 않은 고기 자꾸 뒤집기, 복사기가 출력 중인데 종이 잡아당기기 등 한국인의 급한 성질을 보여주는 장면과 일화는 끝이 없다.
개인들로 보면 서두르고 조급해하는 사람에서부터 만사 느긋한 사람에 이르기까지 천차만별의 성격들을 갖고 있겠지만 한국이란 나라 전체에 깊숙이 자리 잡고 있는 사회적 성격은 한마디로 ‘빨리빨리’로 규정할 수 있다. 이런 성격을 바탕으로 폐허 속에서 단기간 내에 경제를 일으킬 수 있었으며 IT 강국이 됐다. 불편한 것은 참지 못하고 “조금이라도 더 빨리 더 편리하게”를 추구하는 사회적 분위기는 배달문화와 간편식 등 한국 특유의 소비현상까지 만들어냈다.
조속한 성과를 추구하는 ‘빨리빨리’ 문화의 부작용이 적지 않다는 지적들이 있음에도 빠른 적응과 속도가 생존에 필수적인 조건이 되고 있는 경쟁사회에서 그 폐해만을 강조할 순 없다. ‘빨리빨리’라는 말에는 이중적 의미가 담겨있다. 그 하나는 조급증이고 다른 하나는 민첩성이다. 조급증은 부실과 실수의 원인이 되지만 민첩성은 발 빠른 대응을 가능케 하는 긍정적 자질이다.
코로나19와 관련해 외신들이 한국의 신속한 검사와 추적을 호평하면서 한국이 짧은 시간에 많은 사람을 검사하고 광범위한 조치를 취할 수 있었던 이유로 한국인 특유의 ‘빨리빨리 유전자’를 꼽은 것은 바로 이런 민첩성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 생각된다. 한국은 시험을 설계해 테스트를 만들고 전국에 실험실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모든 작업을 17일 안에 끝냈다. 한 외국 전문가는 “빠른 진단과 치료를 통해 한국은 시간을 사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것을 가능케 한 것이 ‘빨리빨리’ 유전자이다.
평소의 매뉴얼로 대응해서는 비상상황을 극복하기는 힘들다. 많은 국가들이 저지른 실수다. 한국은 신속한 대응으로 이들 국가들에 모범적 방역사례가 되고 있다. 조급해하지 않으면서 민첩하고, 부산스럽지 않으면서 바지런한 ‘빨리빨리’라면 그것은 자랑할 만한 유전자라 할 수 있다.
짧은 이민 역사에도 불구하고 미주 한인사회가 급성장 할 수 있었던것 역시 ‘빨리빨리’ 유전자가 발현된 결과가 아닐까 싶다. 이런 유전자는 코로나19로 무너진 우리의 일상을 회복하고 무너진 삶의 현장을 복원하는데도 긍정적으로 기여할 것이라 믿는다.
<
조윤성 논설위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총 3건의 의견이 있습니다.
칭찬 좀 받았다고 한국인을 "성숙한 시민"라 하질않나. ..(내참 ! 지나가던 개가 웃을까 걱정된다 진짜) 이젠 "성숙한정권"이라네. " 안전불감증 시민"과 "안전 불감증 정권"이 지금 시국이 시국이라 외국에 잠깐 이렇게 비추어진것뿐 곧 코리안의 민낯이 다 드러나겠지 걱정이다. 코로나 사태는 한국행정관들과 의료팀들의 팀웍이 빛을 발한건데 평소 정부/의사 욕하던 인간들이 제일먼저 튀어나와 숫가락 언질려고 하는거 너무 더럽다 엥간해라
문재인 정권이후 한국은 비로소 진정한 자유 민주국가가 된 느낌이다. 기생충의 오스카 수상, 미국과는 비교도 안되는 의료시스템, 전 세계에서 최고인 IT 인프라, 유일하게 효율적으로 대처한 콜로나 사태등등. 하지만 문재인 정권의 최고의 업적은 언론의 자유와 투명성이다. 언론이 씹어대도 응징하지않고 혼란이 올수있는데도 쉬쉬하지않고 국민에게 알린 성숙한 정권 칭찬하지않을수없다.
역시 대한민국이지요. 이제 한가지만 더 남북만 통일 한다면 미국도 중국도 일본도 감히 간섭 못하고 우리 대한민국은 대한민국의 입맛에 맞게 찌지고 볶구고 상 그득히 차려 잘먹고 잘 살수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