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다섯째가 안 보인다. 어디 갔을까 궁금했는데 얼마 지나지 않아 고개를 빼쭉 내밀었다가 엄마를 발견하곤 순식간에 자라목처럼 방안으로 사라진다. 그 짧은 순간에 무슨 일이 있었는지, 왜 저러고 있는지가 한 눈에 읽혀 입꼬리가 위로 올라간다. 삐친 것이다.
얼마 전 11세 생일도 지났고, 며칠 사이에 엄마보다 키가 훌쩍 커버린 딸이지만 역시 막내 맞다. 큰 아이 같으면 당장 달려가 왜 그러냐고, 엄마가 도와줄게 걱정하지 말라고 아이를 못살게 굴었을 텐데, 삐쳐서 방에 쏙 들어가버린 막내 딸이 사랑스럽기만 하니 엄마도 이젠 좀 철이 들었나보다.
조금 있으니 물어 볼 것도 없이 넷째와 여섯째가 와서 자초지종을 술술 풀어놓는다. 다른 아이들보다 감성이 풍부한 다섯째는 아무 것도 아닌 일에 감동도 잘하고, 웃기도 잘하고 삐치기도 잘한다. 그런데 본인의 얘기를 들어보면 그 아이의 수준에서는 그렇게밖에 할 수 없겠구나 하는 생각이 절로 드니 나도 어찌할 수 없는 고슴도치 엄마인가 보다.
사람이 살다보면 내게 안 맞는 사람들을 종종 만나게 된다. 가끔 만나는 사람이거나 스쳐지나가는 손님 같은 관계면 별 문제가 되지 않지만, 같은 지역이나 단체에 속해 자주 만나야 되는 경우일 때는, 더구나 매일 만나는 가족인 경우엔 별 일도 아닌데 마음이 상할 때가 있다.
특별히 자기와 친한 사람들일수록 더 많은 것을 기대하기 때문에 조금만 섭섭하게 해도 하루 종일 그것에 묶여 마음에 몸살이 난다. ‘왜 그렇게 내 마음을 몰라줄까? 난 특별히 생각해서 배려했는데 왜 그것을 고맙게 여기지 않을까? 내가 지금 어떤 상태인지 너무 잘 알고 있는데 그렇게밖에 말을 못하나? 지구를 한 바퀴 돌아도 남을 만큼 생각이 꼬리를 물고 물어 상상의 날개를 펴보지만 어찌된 영문인지 날지도 못하고 일이 손에 잡히질 않는다. 철없는 아이들만 그러는 게 아니라 삐치는 것은 나이에 상관이 없는 것 같다.
평생 혼자서는 살 수 없고 누군가와 관계를 맺으며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게 인생일진데 ‘어떻게 하면 좀 더 멋지고 풍성한 관계를 맺으며 살 수 있을까?’ 고민하며 행복한 시험지에 정답을 쓰고 싶어 몸부림치곤 한다.
이 세상 65억 사람이 모두가 다른 것은 누구나 인정한다. 그런데 문제는 그 차이를 내가 인정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기는 것이 아닐까? 내가 낳은 자녀들도 저마다 개성이 다르고 독특한 면이 있는 것이 매력인데, 왜 나와 다른 그 사람이 꼭 내 맘에 들어야만 직성이 풀릴까?
내 맘에 안 드는 것이 정상이라고 생각한다면, 내 기분을 조금 몰라줘도 ‘그럼 그렇지, 당연해. 그럴 수도 있어. 나도 그럴 때가 많은 걸…’ 이렇게 말해 본다면 웬만한 일에는 삐치지 않을 수 있을 것 같다. 더구나 그 사람 입장에서 조금만 생각해 보면 충분히 이해가 가곤 한다.
그래도 가끔씩 이해할 수 없고, 마음이 아플 때에는 골방에 들어가 나의 모든 것을 아시는 그분께만 나의 심정을 아뢰곤 한다. ‘하나님 아시지요? 난 그런 뜻이 아니었는데요. 주님이 좀 풀어주세요.’ 아무도 안 듣는 골방에서 기도했는데 어느덧 내 마음도, 상대방의 마음도 부드럽게 만져진 것을 느낀다. 그새 천사가 다녀 갔나보다. 8월인데도 시원한 가을바람이 느껴진다.
정한나/남가주광염교회 사모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