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디캐프에 첨가 되는 화학약품은 인체에 무해 무독한것
Coffee생산국으로서는 Brazil과 Columbia가 우위에 선다. 모두 Arabica종을 생산 한다. Brazil Coffee는 Burbon Santos라는 종류가 최고급이기 대문에 그렇게 표시 된 것이 많이 나온다. Typica라던가 Mundo Nova라는 것도 Brazil산이다. Columbia의 Arabica는 Columbian Supremo라던가 Excelso라는 이름으로 시중에 많이 나오고 있다. Supremo가 좀더 고급 coffee이다.
요새는 Regular Coffee보다는 특별 조제한 coffee를 많이 마신다.
Specialty Coffee라고 한다. Specialty Coffee는 Espresso Coffee를 베이스로 하는 경우가 많다. Espresso란 Italy 말로써 “급하게 만든다”라는 뜻이다. Dark보다 더 강하게 볶아서 거이 까만 색이 될 정도로 만든 bean을 먼지가 펄펄 날 정도로 곱게 갈아서 ground coffee를 만든다. 발이 아주 총총한 철망으로 아래를 막은 쇠부치로 만든 적은 컵에 ground coffee를 넣고 펄펄 끓는 물을 수증기와 같이 급속도로 압력을 주어서 통과 시킨다. 20초 정도에 물이 다 빠져야 한다.
결과 적으로 거품이 섞인 커피가 만들어 진다. 향기가 좋고 sweet하지만 쓴맛이 강하게 난다. Espresso는 보통 coffee잔의 반정도 밖에 안 되는 espresso cup이라는 조고 만한 찻종에 반정도 따라서 마신다. 이 cup을 demitasse cup이라고도 한다. 보통 설탕을 진하게 타서 마신다. Espresso Coffee는 Italy의 국가 음료이다. 식후에는 우리 숭늉 마시듯이 반드시 마신다고 보아도 된다.
이 Espresso Coffee에 Cream이나 Milk, Chocolate등을 배합해서 Specialty Coffee를 만든다. Milk는 뜨거운 수증기로 데운 steamed milk나 수증기를 강하게 주입해서 milk가 거픔이 되게 한 Formed Milk (Froth라고도 한다)를 쓴다. Cream은 주로 Whipped Cream을 쓴다.
Specialty Coffee중에서는 Cappuccino가 가장 많이 애음이 된다. Espresso Coffee와 Steamed Milk, Froth를 동 비율로 따른 것이다. Cup 의 제일 밑창에 설탕을 탄espresso를 깔고 그 위에 steamed milk를 붓는다. 그리고 그 위에 froth를 띄운다. 이러케 froth를 띄우거나 whipped cream을 띄운 커피를 마실 때는 휘 저서 성분을 섞으면 안 된다. Froth가 떠있는 채로 컵의 모소리에 입을 대고 빠는 식으로 마신다. 그 촉감을 마시는 것이다. 시간이 가면서 차차로 froth가 녹아서 아래 성분과 섞어지는 것을 보고 마시는 것도 일미이다.
다음은 Cafe Latte이다. Cappuccino와 비슷하지만 steamed milk 양이 좀더 많고 froth양이 적다. Latte라는 말은 이태리어로써 "우유"라는 뜻이다. Cafe Latte란 "Coffee with Milk"라는 뜻이다.
Cafe Americano는 Espresso에 뜨거운 물 2배 또는 3배정도를 탄 것이다. Espresso 에서 나는 쓴 맛을 많이 희석 시키면서 Espresso의 coffee진국 맛을 나게 한 것이다. Red Eye라는 것이 있는데, Espresso 1 shot을 정상적인 coffee cup이나 mug에 붓고 brewed coffee로 나머지 컵을 채운 것이다. 역시 커피 맛이 두드러지는 음료이다.
Cafe Mocha는 Cafe Latte와 같이 espresso에 steamed milk를 분 것인데 espresso를 붓기 전에 chocolate syrup을 아래에 깐다. 위에는 whipped cream을 띄운다. 마실 때 찬 whipped cream이 입술에 닷는 맛이 일품이다. 그리고 chocolate 뒷맛이 입안을 향기롭게 한다.
Espresso Con Panna는 espresso와 whipped cream을 같은 비율로 분 것이다. 뜨거운 espresso 위에 찬 Whipped Cream을 얹은 것이기 때문에 두 가지의 음료가 같이 입술에 와 닫는 감각이 특이한 맛을 준다.
Starbucks와 같은 Specialty Coffeehouse들은 고유의 처방명을 쓰기도 하지만 이상과 같은 일반명을 섞어서 쓰기 때문에 menu를 쉽게 이해 할 수가 있다.
Espresso나 French Roast는 맛이 많이 쓰기 때문에 Caffeine이 다른 roast보다 더 많은 것 같이 느껴지지만 실은 그 반대 이다. Roast를 하면서 caffeine이 많이 타서 없어지기 대문에 Dark Roast에는 도리여 caffeine 함유량이 적다. 그러한 면에서 본다면 specialty coffe는 caffeine이 적으며 우유를 탄 coffee이기 때문에 건강에 보탬이 되는 음료라고도 할 수 있다.
요새는 Caffeine이 인체에 해롭다고 해서 decaf를 선호하는 인구가 많이 늘었다. Coffee인구의 약 20%가 Decaf를 택한다는 통계가 나와 있다. 한때 Decaf에 사용되는 화학약품이 발암작용을 한다고 해서 다소 문제가 있기는 했지만 여러가지로 개량된 약품이 사용되고 있고, 화학약품 대신 물로 caffeine을 제거하는 방법도 발달 되었기 때문에 decaf를 원할 경우 별로 그러한 문제에 구해를 받지 안아도 되게 되었다. (끝)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