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이스북·트위터 활용 ‘그루폰’선두주자 갭청바지 절반가격 하루 44만장 팔아치워
■ 소셜샤핑 바람 전세계 확산
‘지금은 소셜샤핑 시대’ 트위터·페이스북 등 소셜네트웍 서비스가 대중화되면서 이를 활용한 공동구매 방식인 소셜샤핑이 뜨고 있다. 파격적 디스카운트로 2008년 11월 전문 웹사이트 ‘그루폰’이 탄생한 이래 미국은 물론 한국, 전세계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소셜샤핑은 2008년 시카고에 사는 29세 청년 앤드루 메이슨이 만든 ‘그루폰’(Groupon)에 의해 처음 등장했다. 그는 의류 브랜드 ‘갭’의 50달러짜리 상품권을 25달러에 할인 판매해 24시간 만에 44만여장을 팔아치우며 세상을 놀라게 했다. 설립 2년 만에 매출 5억달러를 기록하며 이제 그루폰은 미국 67개 도시와 해외 14개 국가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세계 최대 소셜샤핑 업체로 우뚝 섰다.
소셜 네트웍 시대를 맞으며 소셜샤핑 열풍도 거세다. 소비자는 싸게 사고, 판매자는 홍보효과를 거둘 수 있으며 사이트는 중개 수수료를 챙길 수 있는 윈윈 마케팅이다.
비즈니스들이 소셜샤핑에 주목하는 것은 우선 엄청난 수의 회원을 거느린 소셜네트웍과 직간접적으로 제휴를 맺고 있기 때문이다. 즉 최대 수억명에 달하는 소셜 네트웍회원들을 잠재고객으로 확보를 할 수 있는 셈이다. 또 소셜네트웍을 활용하면 거의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판촉활동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한 소비자의 구매 경험이 소셜네트웍을 통해 ‘입소문 마케터’의 역할을 해준다.
소셜샤핑은 사이트들에 따라 성격이 조금 다르지만 운영방식은 유사하다. 사이트 가입자들에게 하루 한번 파격 할인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메일로 띄우고 구매 인원이 일정 숫자에 도달하면 제시된 할인가를 적용받는 것이다.
업체 입장에서는 ‘할인’이란 콘텐츠를 입소문 네트웍을 통해 얼마나 빠르고 폭넓게 유통시키느냐가 관건이다. 이 때문에 소셜샤핑은 최소 ‘50% 할인’을 기본으로 삼으며 뉴스를 만들어낸다. 여기에 ‘하루동안만 판다’는 집중성, 최소 구매인원이 모여야 거래가 성사되는 ‘공동구매’의 원칙이 소비자들을 끌어들이는 것이다.
◆소셜샤핑의 유형
소셜샤핑의 유형은 크게 그룹샤핑과 샤핑 커뮤니티로 대별된다. 그룹샤핑이란 기존의 공동구매 모델이 소셜네트웍서비스와 결합한 형태다. 최소 구매 수량이 달성되면 파격적인 디스카운트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소비자들은 소셜 네트웍을 통해 친구들을 공동구매에 참여토록 한다.
‘그루폰’ 외 ‘리빙소셜’(LivingSocial) ‘바이위드미’(BuyWithMe) 등이 해당된다.
소셜샤핑의 대표주자 격인 그루폰은 거주하는 도시를 선택해 가입하면 지역의 오프라인 매장에서 판매하는 제품 중에 선택된 ‘투데이스 딜’(Today’s Deal)을 확인할 수 있다. ‘투데이스 딜’은 제품을 구매하려는 이용자가 일정 숫자에 도달할 경우에만 성립된다. 페이스북과 트위터, 이메일을 통해 ‘투데이스 딜’ 정보를 공유한다.
소셜샤핑 업계의 기대주로 떠오르고 있는 리빙소셜 역시 ‘딜 오브 더 데이’(Deal of the Day) 서비스를 제공하며, 특히 이용자가 구매를 결정하고 제품을 링크한 친구 3명 이상이 구매를 하면 공짜로 제품을 받을 수 있다.
소셜샤핑의 경우 한인업소와도 무관치 않다. ‘옐프’(yelp.com) 등 지역 정보 커뮤니티 사이트에 들어가 보면 한인 대형 사우나 입장권을 리빙소셜을 통해 저렴하게 구입했다는 리뷰가 심심찮게 등장한다.
그루폰 등과 달리 ‘카부들’(Kaboodle) ‘스타일피더’(Stylefeeder) ‘폴리보어’(Polyvore) 등은 샤핑 커뮤니티로 분류된다. ‘소비자를 위한, 소비자에 의한’(Shopping for People, by People)을 모토로 내건 ‘카부들’의 경우 다른 사람들의 샤핑 결과를 보여줌으로써 소비자들의 의견과 일치하려는 고객들의 구매 경향을 충족시킨다.
예를 들어 ‘노트북’을 검색하면 오늘, 금주, 이달 등 카테고리 별로 가장 많이 찾고 구매하는 노트북의 리스트를 보여준다.
이밖에 정보 제공 사이트 ‘어바웃닷컴’(about.com)이 추천하는 소셜샤핑 사이트는 다음과 같다.
▲Kaboodle (kaboodle.com) ▲MyItThings (myitthings) ▲Zebo(zebo.com) ▲ProductWiki (productwiki.com) ▲ShopStyle(shopstyle.com) ▲Woot(woot.com) ▲Iliketotallyloveit (iliketotallyloveit. com)
<이해광 기자>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