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주말 빅베어에서 열린 침묵기도 수련회에 다녀왔다. 한 여름 풍성한 태양 아래 빅베어 레익은 잔잔한 물비늘을 수도 없이 만들어냈다. 호수 저 멀리 끝자락을 바라보면 햇살이 거기 멈춘 듯 눈이 부셨고 눈길을 가까이 당기면 부서진 햇살이 유리조각처럼 빛났다.
첫날 하이킹은 소나무 숲 사이로 이어지는 약 2 마일의 오솔길. 삼림욕을 할 때 나무에서 나온다는 살균력 강한 파이톤사이드(피톤치드) 덕분인가. 스트레스가 사라진 머릿속 뿐 아니라 심장까지 시원해진 기분이다.
해가 뉘엿뉘엿 넘어가는 저녁시간, 모두들 숙소로 돌아왔다. 돌과 통나무의 아름다운 조합으로 튼튼하게 지어진 숙소 한 옆으로 소나무가 긴 그림자를 만드는 둥그런 잔디밭에 모여 우리는 주로 휴식과 침묵시간을 가졌다. <그분을 잠잠히 생각하는 것이 너무나 달콤하니 내가 여호와 안에서 기뻐합니다… 우리말 성경 시편 104:34>내가 말하고 내가 구하고 내가 이끌어가는 기도를 멈추고 오랜만에 침묵하며 ‘잠잠히’ 있기! 그저 그 자리에 가만히 있기! 그러고 보면 우리의 몸은 하루 종일 쉴 새 없이 움직여 왔었다. 손가락을 구부려 물건을 잡거나 집거나 누르고 꼬거나 문지르거나 쓰다듬거나… 두 발은 또 어떤가? 걷거나 차거나 뛰거나 비비거나… 그뿐인가. 두 눈은? 바라보거나 쳐다보거나 노려보거나 째려보거나 흘겨보거나… 아! 정말 바쁘게 살았다.
편안하게 깎아 만든 통나무 의자에 앉아 두 눈을 감고 ‘잠잠히’ 있다가 가끔씩 눈을 떠보면, 은사시나무의 작은 잎사귀들이 바람도 없는데 일제히 흔들리고 있다. 은백색 가지들은 석양 아래 붉은 빛으로 반사하고 매달린 연록의 잎사귀들은 투명해진다. 내가 나무를 아주 오래 못 본 것 같기도 하고 바람의 간지러운 장난을 처음 만난 것 같기도 하다.
‘무엇 때문에 이리 바쁘게 살았을까? 천천히 가자!’ 하고 돌이켜 보면 주변의 많은 사람들이 이미 내 귀에 그렇게 말했었다. 심리학자 어니 젤린스키는 ‘느리게 사는 즐거움’을 통해, 우리가 하는 일상의 걱정 가운데 96%가 아무짝에 쓸모없는 것들이라고 설명해 주었다. 절대 일어나지 않을 일 40%, 이미 일어난 일 30%, 사소한 일 22%, 바꿀 수 없는 일 4%.
평생 목발을 짚고 살았던 영문학자 고 장영희 교수 역시 “내가 남보다 느리게 걷기에 더 많은 아름다운 것들을 볼 수 있었다”고 고백했었다. 그분의 시 한 편을 읽어보자. ‘너도 느리게 살아봐… 수술과 암술이 어느 봄날 벌 나비를 만나 눈빛 주고받고 하늘여행 다니는 바람과 어울려 향기롭게 사랑하면 튼실한 씨앗 품을 수 있지. 그 사랑 깨달으려면 아주 천천히 가면서 느리게 살아야 한다. (중략) 번쩍하고 지나가는 관계 속에서는 다사로운 말 한마디 나누지 못하고 사랑 한 올 나누지 못한다. 쏜살같이 살면 마음의 눈으로 봐야 할 것 볼 수 없단다. 아이야, 너도 느리게 살아 봐.’빅베어의 밤. 아까 앉았던 그 의자에 여전히 기대앉아 하늘을 본다. 토실하게 살이 오르기 시작하는 상현달과 아까부터 나를 내려다보는 별 하나. ‘잠잠히’ 바라다보면 그 별이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 놀이를 하는 아이처럼 아주 조금씩 몰래 움직인다. 별아, 네가 움직인 걸 내가 모를 줄 알았지? 나의 침묵기도 속에 ‘그분’이 조용히 들어오신다. 참 좋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