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그렇게 산이 좋은지 나는 늘 만나는 친구에게 산타령, 산자랑을 늘어놓는다. 오늘도 이른 아침 예쁜 동생들과 너끈히 산을 타며 저수지 앞에서 체조를 하고 오는 길은 정말이지 산맛 꿀맛이다. 십대부터 oo산, oo산을 종주하며 그 경험을 서로 나누는 것이 무슨 숙제인 양 꼭 한번은 해보고 싶은 마음이 있었다. 지금의 남편과 남친으로 만날 그 무렵 일행들과 설악산 종주를 마친 이십대 초반의 일이다. 백담계곡으로 올라가 소청봉, 대청봉을 찍고 천불동 계곡으로 내려오는 코스는 이틀에 하기엔 그리 만만치 않은 거리였다. 폭우를 뚫고 봉정암에 올라가던 중 건장한 두 남자가 들것에 심히 다친 사람을 태우고 내려올 때(머리까지 가마니를 덮어서 죽은 사람이었는지도), 우린 너무 놀라 요즘 말하는 멘붕 상태로 생라면에 짠 스프를 뿌려 먹으며 탈진을 예방해야 했다. 뒤로도 앞으로도 가기 어려운 험난한 빗길을 뚫고 봉정암에 오른 우리.
난생처음으로 빗물 위로 텐트를 치고 자야 하는 경험을 했다. 머리부터 발끝까지 흠뻑 젖은 채, 얇은 텐트 바닥 아래로 흐르는 물소리를 들으며 잠을 청하는 그 여름밤의 추위는 지금 생각해도 으슬으슬하다. 새벽부터 잠이 깬 우리는 다리에 척척 감겨 붙는 청바지가 어찌나 불편하고 무겁던지 스위스칼(?) 같은 것으로 청바지를 반바지로 잘라 입고 대청봉에 올라 “야호!”를 맘껏 외쳤다. 그 짧은 감동의 순간과 풍광을 가슴에 담으려고 그 먼 길을 걸어 여기에 서 있구나.. 하면서.
날씨가 사나워지기전에 천불동 계곡으로 발길을 재촉해서 케이블카가 있는 근처까지 내려오는데 신들린 듯이 발걸음은 아래로 아래로 날듯이 내려가고, 발바닥이 아파서 울고 싶은데 너무 힘이 들어 울 수도 없었다. 내려오는 내내 ‘앞으로 살면서 지금보다 힘이 들 때는 결코 없을거야’ 했는데 과연 그랬다. 아직은 그때의 극한을 넘나들 만큼 몸이 힘이든 적은 없었다. 아무리 지치고 힘이 들어도 그때를 떠올리면 ‘것 쯤이야!’ 싶다. 군대를 다녀온 오빠나 남편의 행군 얘기 정도에 견줄 만큼의 강렬한 이 체험은 사는 동안 평생 몸이 아프지 않게 해줄 백신을 맞은 느낌의 힘을 공급해준다. 고맙게도 설악산의 기억은 오늘을 사는 내게 뽀로로 체질로 이어진다. 오늘 새삼 설악산이 그립다.
댓글 안에 당신의 성숙함도 담아 주세요.
'오늘의 한마디'는 기사에 대하여 자신의 생각을 말하고 남의 생각을 들으며 서로 다양한 의견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그러나 간혹 불건전한 내용을 올리시는 분들이 계셔서 건전한 인터넷문화 정착을 위해 아래와 같은 운영원칙을 적용합니다.
자체 모니터링을 통해 아래에 해당하는 내용이 포함된 댓글이 발견되면 예고없이 삭제 조치를 하겠습니다.
불건전한 댓글을 올리거나, 이름에 비속어 및 상대방의 불쾌감을 주는 단어를 사용, 유명인 또는 특정 일반인을 사칭하는 경우 이용에 대한 차단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차단될 경우, 일주일간 댓글을 달수 없게 됩니다.
명예훼손, 개인정보 유출, 욕설 등 법률에 위반되는 댓글은 관계 법령에 의거 민형사상 처벌을 받을 수 있으니 이용에 주의를 부탁드립니다.
Close
x